728x90
반응형
오늘 주식시장에 여러 종목이 서킷 브레이크 발동해서 많이들 궁금하실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서킷 브레이크에 대해서 알아봄.
서킷 브레이크(Circuit Breaker)는 주식 시장에서 급격한 주가 변동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이는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하거나 상승할 때,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억제하고 투자자들에게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할 시간을 주기 위해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장치입니다. 주식 시장 외에도 상품 시장 등 다양한 금융 시장에서 사용됩니다.
서킷 브레이크의 주요 특징
- 발동 기준:
- 하락 시: 주가 지수나 개별 주식의 가격이 일정 비율 이상 하락할 때 발동됩니다.
- 상승 시: 일부 시장에서는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상승 시에도 서킷 브레이크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발동 단계:
- 1단계: 일정 비율 하락 시 (예: 7% 하락), 거래가 일시적으로 중단됩니다. (보통 15분간)
- 2단계: 더 큰 비율 하락 시 (예: 13% 하락), 다시 거래가 중단됩니다. (보통 15분간)
- 3단계: 매우 큰 비율 하락 시 (예: 20% 하락), 거래가 당일 종료됩니다.
- 적용 시장:
- 주식 시장: 대부분의 주요 주식 시장에서 서킷 브레이크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뉴욕 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 등.
- 파생 상품 시장: 선물이나 옵션 등 파생 상품 시장에서도 서킷 브레이크가 적용됩니다.
- 국내 시장: 한국의 경우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도 서킷 브레이크 제도가 운영됩니다.
서킷 브레이크 발동의 예시
- 미국 주식 시장 (NYSE):
- Level 1: S&P 500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7% 하락하면 15분간 거래 중단.
- Level 2: S&P 500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13% 하락하면 추가로 15분간 거래 중단.
- Level 3: S&P 500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20% 하락하면 당일 거래 종료.
- 한국 주식 시장 (코스피):
- Level 1: 코스피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하락하면 20분간 거래 중단.
- Level 2: 코스피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15% 하락하면 추가로 20분간 거래 중단.
- Level 3: 코스피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20% 하락하면 당일 거래 종료.
서킷 브레이크의 목적과 효과
- 시장 안정화: 급격한 가격 변동 시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지지 않도록 시간을 제공하여 시장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투자자 보호: 과도한 매도나 매수를 방지하여 투자자들이 보다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시장 신뢰성 제고: 시장의 변동성을 줄여 투자자들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서킷 브레이크의 한계
- 일시적 조치: 서킷 브레이크는 일시적인 조치일 뿐,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않습니다.
- 의도하지 않은 결과: 일부 투자자들은 서킷 브레이크 발동을 예상하고 매도나 매수를 미리 진행할 수 있어 시장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단기적 영향: 시장의 변동성을 일시적으로 줄이지만, 서킷 브레이크 해제 이후에도 변동성이 다시 커질 수 있습니다.
서킷 브레이크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에게 시간을 제공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그러나 이 제도도 완벽하지 않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다들 안전한 투자하시길...
728x90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정부 발표 경제 지표 (0) | 2024.07.10 |
---|---|
슈링크플레이션 (0) | 2024.07.01 |
주식 투자 참고 지표 (0) | 2024.02.21 |
건폐율과 용적율 계산식 (0) | 2024.01.31 |
신생아 특례대출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