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24 서킷 브레이크 발동 오늘 주식시장에 여러 종목이 서킷 브레이크 발동해서 많이들 궁금하실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서킷 브레이크에 대해서 알아봄. 서킷 브레이크(Circuit Breaker)는 주식 시장에서 급격한 주가 변동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이는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하거나 상승할 때,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억제하고 투자자들에게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할 시간을 주기 위해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장치입니다. 주식 시장 외에도 상품 시장 등 다양한 금융 시장에서 사용됩니다.서킷 브레이크의 주요 특징발동 기준:하락 시: 주가 지수나 개별 주식의 가격이 일정 비율 이상 하락할 때 발동됩니다.상승 시: 일부 시장에서는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상승 시에도 서킷 브레이크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발동 단계:1단계: 일.. 2024. 8. 5. 미국 정부 발표 경제 지표 미국 정부가 발표하는 다양한 경제 지표는 경제의 상태와 성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경제 지표와 그 계산 방식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1.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정의: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계산식: GDP=C+I+G+(X−M)GDP = C + I + G + (X - M)GDP=C+I+G+(X−M)CCC: 개인 소비 지출 (Consumption)III: 기업의 투자 (Investment)GGG: 정부 지출 (Government Spending)XXX: 수출 (Exports)MMM: 수입 (Imports)2. 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정의: 소비자가 구입하는.. 2024. 7. 10. 슈링크플레이션 오늘은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자. 사진은 가성비 좋은 베트남 분짜 사진임^^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은 제조업체가 제품의 가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의 크기나 양을 줄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shrink'와 'inflation'의 합성어로, 제품의 실제 가격이 인상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소비자에게는 제품의 가격이 변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제품의 단위당 가격이 올라가는 셈입니다.슈링크플레이션의 원인원자재 비용 증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이를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울 때 제조업체는 제품의 크기나 양을 줄입니다.에너지 비용 상승: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 생산 및 유통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를 상쇄하기 위.. 2024. 7. 1. 주식 투자 참고 지표 오늘은 주식 투자에 활용되는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자.ㅎㅎ 주가수익비율 (Price-to-Earnings ratio, P/E ratio): 계산법: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 활용법: 높은 P/E 비율은 시장이 기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므로 성장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낮은 P/E 비율은 가치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주가순자산비율 (Price-to-Book ratio, P/B ratio): 계산법: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 활용법: P/B 비율이 1보다 낮으면 가치주로 간주되며, 1보다 높으면 시장이 기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EPS): 계산법: 회사의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 활용법: 회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2024. 2. 21. 이전 1 2 3 4 ··· 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