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건폐율과 용적율 계산식

by andrew son 2024. 1. 31.
728x90
반응형

건폐율과 용적율은 건축물의 부지 이용에 관련된 중요한 개념으로, 도시 계획 및 건축 규제에서 사용됨.

 

오늘은 건폐율과 용적율에 대해서 알아봄.

 

  1. 건폐율 (Building Coverage Ratio):
    • 건폐율은 특정 부지에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되며, 공간의 효율성과 활용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고려해야 할 요소로는 건물의 기반 면적, 지붕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 등이 있습니다.
    • 수직적으로 높은 건물일수록 건폐율이 높을 수 있습니다.
  2. 용적율 (Floor Area Ratio 또는 Floor Space Index):
    • 용적율은 건물이 차지하는 총 부지 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총 가용 층 면적 비율을 나타냅니다.
    •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다르게 계산되며, 지역의 도시 계획 및 개발 규제에 따라 제한됩니다.
    • 고밀도 도시 지역에서는 용적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수직적으로 높은 건물이나 다층 건물을 지원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건폐율 (Building Coverage Ratio, BCR) 예제:

 

가상의 부지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부지의 면적은 500 제곱미터이고, 건물의 기반 면적은 200 제곱미터입니다.

 

이 경우 건폐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부지에서 건물은 40%의 건폐율을 가지게 됩니다.

 

용적율 (Floor Area Ratio, FAR) 예제:

 

이번에는 동일한 부지에 건물이 있다고 가정하고, 건물의 총 가용 층 면적이 600 제곱미터라고 해봅시다.

 

이 경우 용적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부지에서 건물은 1.2의 용적율을 가지게 됩니다.

 

이렇게 계산된 건폐율과 용적율은 해당 부지나 건물이 도시 계획 규제를 준수하는지를 평가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토지 투자의 가장 기본적인 용어임.ㅎㅎ

 
 
 
728x90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링크플레이션  (0) 2024.07.01
주식 투자 참고 지표  (0) 2024.02.21
신생아 특례대출  (0) 2024.01.23
주식투자 용어  (1) 2024.01.18
재무 제표 설명과 예제  (0)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