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글

노벨상 유래

by andrew son 2023. 10. 11.
728x90
반응형

노벨상 메달


누구나 살아 생전에 꼭 한번은 받고 싶은 상 노벨상ㅎㅎ

노벨상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보자. 


<유래>

스웨덴의 화학자이자 산업가 알프레드 노벨은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였다. 

그는 생전에 몇 번의 유언을 하였지만 마지막 유언은 그가 죽기 바로 전 해인 1895년 11월 27일 파리에 있는 스웨덴인-노르웨이인 클럽에서 쓰였다.

다이너마이트의 군사적 사용의 증가에 그는 심기가 불편하던 중 그의 형 루드비히 노벨이 죽었을 때 프랑스의 한 신문에 실수로 알프레드 노벨의 부고기사가 실렸다. 

그의 때이른 부고기사에서 알프레드 노벨은 ‘죽음의 상인’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이것이 노벨상을 만든 동기가 되었다고 하며,그는 유산의 94%인 3200만 스웨덴 크로나(340만 유로, 440만 달러)를 노벨상 설립에 남겼다.

1901년부터 수여하였다. 노벨평화상만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수여되며, 나머지 상은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수여된다. 

경제학상은 1969년부터 스웨덴은행에 의해 뒤늦게 재정되었으며, 스톡홀롬에서 매년 12월 10일에 진행된다.

<수상 분야>

1. 노벨평화상
- 노르웨이 국회 스토르팅의 추천에 의해 구성되는 노르웨이 노벨위원회에서 결정

2. 노벨경제학상
- 정식 이름은 "알프레드 노벨 기념 스웨덴 은행 경제학상”, 스웨덴 왕립 고등 과학원에서 결정

3. 노벨물리학상
- 스웨덴 왕립 고등 과학원에서 결정

4. 노벨문학상
- 스웨덴 아카데미에서 결정

5. 노벨생리학ㆍ의학상
- 카롤린 의학연구소에서 결정

6. 노벨화학상
- 스웨덴 왕립 고등 과학원에서 결정


<상금 및 재단 운영>

재단은 노벨의 기부 금액을 자금으로 삼아 계속 돈을 굴려가며 얻는 운용 수익으로 노벨상을 운영하고 있다. 

수상자의 선발 및 시상식 등을 진행하는 데 매년 125억 원가량이 든다. 

2000년대 초반 수익률이 좋을 때는 200억 원까지 쓰다가 금융위기 이후 긴축 모드로 예산을 줄였다.


주요 쓰임처는 세 군데다. 

수상자에게 주는 상금과 메달, 상장 등 제작비용으로 6,760만 크로나(약 87억 원), 

노벨상을 발표하고 다양한 부대 행사를 진행하는 노벨 위크 다이얼로그(Nobel Week Diaglogue)에 드는 비용이 1,450만 크로나(18.6억 원), 

기타 상의 선발 및 운영, 시상식에 드는 행정비용이 1,490만 크로나(약 19억 원)이다.

 

2016년 말 기준으로 노벨 재단의 자산은 42억 크로나(5,913억 원, 2016년 기준)다. 

노벨 재단은 자금의 대부분을 주식시장에 투자해 자금을 관리해왔다. 

자금 운용 수익이 낮아지면 노벨상의 상금도 줄어든다. 

상금의 액수가 오르락내리락하는 이유다. 

그뿐 아니다. 노벨상 금메달의 두께도 달라진다.


노벨상의 수상 과정을 제외한 운영, 자금 운용, 홍보 등 대부분의 업무는 노벨 재단이 담당한다.

자금 운용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나 소개한다. 

2000년 대까지만 해도 노벨 재단의 자금 운용은 주식 투자가 중심이었다. 

그러다 2000년 대부터 주식시장이 불안해지자 노벨 재단의 자산가치가 크게 하락했고, 

2012년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는 상금을 20%나 줄여야 했다. 

이후 노벨 재단은 주식 중심의 투자 전략을 바꿔 주식 보유분을 줄이고 부동산과 채권에도 분산 투자하고 있다.



노벨 재단이 운영하는 자금의 규모가 상당하고 노벨상 자체가 스웨덴 국가 브랜드에 큰 기여를 하다 보니 

노벨 재단은 스웨덴의 누구도 누리지 못하는 특권을 하나 누린다. 바로 세금 면제 

복지의 근간이며 나라를 운영하는 데 세금이 필수적인 북유럽에서 세금을 면제받는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엄청난 특권이다.

하지만 스웨덴은 1946년 이후 노벨 재단에 한해서는 어떠한 세금도 물리지 않는다.




728x90
반응형

'책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텔 최신 14세대 랩터 레이크 리프레쉬(Raptor Lake Refresh) 공개  (1) 2023.10.18
똥 관련 꿈 해몽  (2) 2023.10.13
한글날 유래  (2) 2023.10.09
다른 생각  (0) 2023.08.29
영어 명언 9가지  (0) 2023.08.29